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1회2회3회4회5회
ta-hash-start=w-73888d1bde775303c1749e63e3312a64[[파일:스웨덴 국기.svg
2011
스웨덴
ta-hash-start=w-7a378ab9b9c128d07e9e4ff97803aeb7[[파일:미국 국기.svg
2012
미국
ta-hash-start=w-7a378ab9b9c128d07e9e4ff97803aeb7[[파일:미국 국기.svg
2013
미국
ta-hash-start=w-9dde7d785093b1c88898c208797e1a9a[[파일:대만 국기.svg ta-hash-start=w-b0a7a7f42f23cdf318b7a1088083f5aa[[파일:싱가포르 국기.svg ta-hash-start=w-45f4ec2f92cda096fc01052b9f53dd89[[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대만 · 싱가포르 · 대한민국
ta-hash-start=w-4a378e98899ec97647c6553589f7b55e[[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15
유럽
6회7회8회9회10회
ta-hash-start=w-7a378ab9b9c128d07e9e4ff97803aeb7[[파일:미국 국기.svg
2016
미국
ta-hash-start=w-c7a015542be20269da63ac3129096569[[파일:중국 국기.svg
2017
중국
ta-hash-start=w-45f4ec2f92cda096fc01052b9f53dd89[[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대한민국
ta-hash-start=w-4a378e98899ec97647c6553589f7b55e[[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19
유럽
ta-hash-start=w-c7a015542be20269da63ac3129096569[[파일:중국 국기.svg
2020
중국
11회12회13회14회15회
ta-hash-start=w-af5d45b962720379bdbf545c8d9a05d1[[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2021
아이슬란드
ta-hash-start=w-2b6921f2c64dee16ba21ebf17f3c2c92[[파일:멕시코 국기.svg ta-hash-start=w-7a378ab9b9c128d07e9e4ff97803aeb7[[파일:미국 국기.svg
2022
멕시코 · 미국
ta-hash-start=w-45f4ec2f92cda096fc01052b9f53dd89[[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대한민국
ta-hash-start=w-107fce5988735e531cae0da812db9a62[[파일:영국 국기.svg
2024
영국
ta-hash-start=w-6556b0f81751f8bc47d5d559eb04a114[[파일:국기.svg
2025
미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우승 팀
DAMWON Gamin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Edward Gaming
DRX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결승 MVP
김건부
(DWG Canyon)
이예찬
(EDG Scout)
황성훈
(DRX Kingen)
파일:2021 Worlds 우승 EDG.jpg

파일:Worlds 2021.jpg
파일:Worlds2021.png
{{{#C1A359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대회 기간2021년 10월 5일 ~ 11월 6일
주최라이엇 게임즈
주관
개최지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1]
조 추첨식2021년 9월 22일 21시 (KST)
참가팀22개 팀[2]
패치 버전11.19[3]
경기장
레이캬비크 뢰이가르달스회들 실내 스포츠 경기장[4]
중계
[ 펼치기 · 접기 ]

중계 플랫폼TV
아프리카TV
온라인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pn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중계진캐스터
전용준, 성승헌
해설자
이현우, 김동준, 강승현, 강범현, 김배인
분석 데스크
이정현, 윤수빈
현지 통역 및 인터뷰어
박지선

일정
결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 Edward Gaming
준우승DWG KIA
결승 MVP이예찬(EDG Scout)

1. 개요
3. 참가팀
3.1. 리그별 진출 현황
3.2. 추첨 풀별 현황
4. 일정
5. 대회 진행
7. 글로벌 파트너
8. 공식 영상
8.1. 오케스트라 테마곡
8.2. 공식 테마곡: Burn It All Down
9. 기념 스킨
12. 여담
12.1. 제9회 다데상
12.2. 드롭
1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MAKE/BREAKMoments & Memories | Worlds 2021 최고의 순간들
2021년 10월 5일부터 11월 6일까지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개최된 제11회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2. 대표 선발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선발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참가팀[편집]


2021년 3월, 라이엇 측에서 "MSI 우승 리그에 추가 시드권을 1장 배분하고, 나머지 리그들은 MSI 종료 이후에 파워 랭킹 계산을 종합적으로 한 이후 남은 1장의 추가 시드권 배분을 산정한다. 파워 랭킹 1위 지역이 MSI에서 우승했을 경우, 파워 랭킹 2위 지역에게 추가 시드가 주어진다."라고 밝혔다.

그 결과, MSI에서 우승한 리그인 LPL과, LPL을 제외한 리그 중 파워 랭킹이 가장 높은 LCK, 두 리그가 4장의 시드권을 배분받게 되었다.

  • 그룹 스테이지 진출팀: LCK, LPL, LEC[5] 1~3시드팀 + LCS 1·2시드팀 + PCS 1시드팀 = 12팀
  • 플레이-인 스테이지 진출팀: LPL, LCK 4시드팀 + LCS 3시드팀 + PCS 2시드팀 + 나머지 6리그의 1시드팀 = 10팀

전년도 월즈와 비교했을 때, LPL에 2번 풀 2개를 배정했던 것과 달리 3번 시드를 다시 3번 풀로 배정하였고, LCS의 1번 시드가 2번 풀로, PCS의 1번 시드가 1번 풀로 배정되었다. 최근 LCS의 성적이 영 좋지 않고[6] 이번 년도 MSI에서 PSG가 4강까지 진출한 성적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 4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참가팀 중 최다 출전팀
    • LCK - Gen.G(7회 출전)[7]
    • LPL - Edward Gaming(6회 출전)[8]
    • LEC - Fnatic(9회 출전)[9]
    • LCS - Cloud9(8회 출전)[10]

  • 4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참가팀 중 최다 연속 출전팀
    • LCK - DWG KIA(3년 연속 출전)
    • LPL - 없음[11]
    • LEC - Fnatic(5년 연속 출전)
    • LCS - Team Liquid(4년 연속 출전)

  • 4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참가팀 중 최다 우승팀
    • LCK - T1(3회 우승)[12]
    • LPL - FPX(1회 우승)[13]
    • LEC - Fnatic(1회 우승)[14]
    • LCS - 없음

  • 4대 리그의 월드 챔피언십 첫 출전팀
    • LCK - 없음[15]
    • LPL - LNG Esports[16]
    • LEC - 없음[17]
    • LCS - 없음[18]


3.1. 리그별 진출 현황[편집]


  • LCK


  • 8월 14일, LCK 팀 DWG KIA가 Liiv SANDBOX를 정규 시즌 2R에서 제압하면서 최소 선발전 결승 자리를 확보하는 포인트를 달성, 전세계에서 두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8월 21일, LCK 팀 DWG KIA가 플레이오프 준결승전에서 NongShim REDFORCE를 상대로 3:0 승리를 거두면서 Gen.G가 최소 선발전 결승 자리를 확보하는 포인트를 달성, 전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8월 22일, LCK 팀 T1이 플레이오프 준결승전에서 Gen.G를 상대로 3:1 승리를 거두면서 서머 결승전 진출 및 최소 선발전 결승 자리를 확보하는 포인트를 달성, 전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9월 1일, LCK 팀 Hanwha Life Esports가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2라운드에서 NongShim REDFORCE를 상대로 3:0 승리를 거두면서 전세계에서 열여섯 번째이자 LCK의 마지막 남은 한 자리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LPL


  • 8월 27일, LPL의 플레이오프 준결승 승자전에서 FunPlus Phoenix가 Team WE를 3:0으로 제압하면서 결승 진출 및 최소 2시드를 확보하며 LPL에서 첫 번째로, 그리고 전세계에서 열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8월 29일, LPL의 플레이오프 준결승 최종전에서 Edward Gaming이 Team WE를 3:0으로 제압하면서 마찬가지로 결승 진출 및 최소 2시드를 확보하며 LPL에서 두 번째로, 그리고 전세계에서 열네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9월 3일, LPL의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승자전에서 Royal Never Give Up이 Team WE를 3:0으로 제압하면서 LPL에서 세 번째로, 그리고 전세계에서 열일곱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9월 5일, LPL의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최종전에서 LNG Esports가 Team WE를 3:1로 제압하면서 전세계에서 스물두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어째 제압당한게 다 동일한 팀이다

  • LEC


  • 8월 14일, LEC의 플레이오프 1라운드 승자조에서 Rogue가 Misfits Gaming을 혈전끝에 3:2로 제압하면서 준결승전 진출 및 최소 3위 자리를 확보, 전세계에서 최초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8월 15일, LEC의 플레이오프 1라운드 승자조에서 MAD Lions가 G2 Esports를 3:1로 제압하면서 로그와 마찬가지로 준결승전 진출 및 최소 3위 자리를 확보, 전세계에서 세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8월 23일, LEC의 플레이오프 3라운드에서 Fnatic이 G2 Esports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면서 최소 3위 자리를 확보, 전 세계에서 여덟 번째이자 LEC의 마지막 남은 한 자리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LCS


  • 8월 15일, LCS 팀 100 Thieves가 챔피언십 2라운드 승자조에서 Evil Geniuses를 접전 끝에 3:2로 신승을 거두면서 준결승전 진출 및 최소 3위 자리를 확보, 전세계에서 네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8월 16일, LCS 팀 Team Liquid가 챔피언십 2라운드 승자조에서 TSM을 상대로 3:1 승리를 거두면서 준결승전 진출 및 최소 3위 자리를 확보, 전세계에서 다섯 번째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8월 23일, LCS 팀 Cloud9이 챔피언십 3라운드에서 TSM을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면서 최소 3위 자리를 확보, 전 세계에서 아홉 번째이자 LCS의 마지막 남은 한 자리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PCS
    • 8월 27일, PCS 팀 Beyond Gaming이 플레이오프 4라운드 승자전에서 PSG Talon을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면서 결승전에 진출, 전세계에서 열한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8월 28일, PCS 팀 PSG Talon이 플레이오프 4라운드 최종전에서 J Team을 상대로 3:0 승리를 거두면서 결승전에 진출, 전세계에서 열두 번째이자 PCS의 마지막 남은 한 자리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LLA
    • 8월 29일, LLA 팀 INFINITY가 결승전에서 Estral Esports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고 우승하면서, 전세계에서 열세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LCO
    • 8월 31일, LCO 팀 PEACE가 결승전에서 Pentanet.GG를 상대로 3:0 승리를 거두고 우승하면서, 전세계에서 열다섯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TCL
    • 9월 5일, TCL 팀 Galatasaray Espor가 결승전에서 NASR ESPORTS를 상대로 3:0 승리를 거두고 우승하면서, 전세계에서 열여덟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LCL
    • 9월 5일, LCL 팀 Unicorns of Love가 결승전에서 CrowCrowd를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고 우승하면서, 전세계에서 열아홉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CBLOL
    • 9월 5일, CBLOL 팀 RED Kalunga가 결승전에서 RENSGA를 상대로 3:1 승리를 거두고 우승하면서, 전세계에서 스무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LJL
    • 9월 5일, LJL 팀 DetonatioN FocusMe가 결승전에서 Rascal Jester을 상대로 3:0 승리를 거두고 우승하면서, 전세계에서 스물한 번째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확정지었다.

  • VCS
    • 9월 9일, 더욱 심각해진 현지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지난 월즈와 올해 MSI 불참에 이어 이번 월드 챔피언십까지 불참하는 것이 확정되었다. 다만, 9월 16일 오전 보도에 따르면 GAM이 월즈 출전을 위해 끝까지 노력할 것이라고 밝히며 라이엇의 협조를 요청했다.[19] 그러나 9월 22일까지 특별한 변동 소식 없이 결국 VCS를 제외한 모든 조편성까지 완료되면서 VCS는 불참이 확정되었다.

1
파일:RGEWORLDS2021.png
2
파일:DKWORLDS2021.jpg
3
파일:MADWORLDS2021.jpg
4
파일:100WORLDS2021.png
5
파일:TLWORLDS2021.jpg
6
파일:GENWORLDS2021.jpg
7
파일:T1WORLDS2021.png
8
파일:FNCWORLDS2021.jpg
9
파일:C9WORLDS2021.png
10
파일:FPXWORLDS2021.jpg
11
파일:BYGWORLDS2021.png
12
파일:PSGWORLDS2021.png
13
파일:INFWORLDS2021.png
14
파일:EDGWORLDS2021.png
15
파일:PCEWORLDS2021.jpg
16
파일:HLEWORLDS2021.jpg
17
파일:RNGWORLDS2021.jpg
18
파일:GSWORLDS2021.jpg
19
파일:UOLWORLDS2021.jpg
20
파일:REDWORLDS2021.jpg
21
파일:DFMWORLDS2021.png
22
파일:LNGWORLDS2021.jpg
파일:Worlds2021.png

3.2. 추첨 풀별 현황[편집]


  • 풀 1 - DK - EDG - MAD - PSG
디펜딩 챔피언 담원이 우승을 거두면서 LCK 1시드를 차지하고, MAD 역시 통합 우승을 거두면서 1번 시드를 차지한 가운데 LPL에서는 FPX가 우승할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EDG가 1번 시드를 차지했다. 또한 MSI에서 PSG의 선전으로 북미를 제치고 PCS가 톱시드를 차지하는 데에 성공했다.[20] 톱시드답게 4팀 모두 굉장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EDG는 월드 챔피언십만 오면 잔혹사를 쓰는 안 좋은 징크스가 있어서 이 부분을 극복해낼지가 관건. 하지만 징크스와 별개로 메이저 챔피언 3인방보다는 마이너 리그 소속에다가 플레이오프에서 정규시즌의 기세를 잃고 폼이 떨어진 PSG가 상대적으로 타 팀들에게 제일 선호될 1시드 팀으로 예측된다.

  • 풀 2 - GEN - FPX - FNC - 100
T1에게 패배하고 내부 사정까지 겹치며 잡음이 일어난 젠지, 도장 깨기는 성공했으나 MAD에게 지면서 라인전의 약점을 고스란히 보여준 프나틱, 그리고 여전한 LCS의 100까지 네임밸류만 보면 오히려 3시드보다도 약해보일수도 있는 2번 풀이었으나 우승후보 FPX가 2시드로 떨어진 후 단번에 FPX 폭탄 피하기로 급변했다. 1시드에 그렇게 약해보이는 팀이 없어보이는 가운데 3시드 팀들은 웬만한 1시드보다 더 까다롭다는 평을 받는 FPX를 무조건 피해야 전망이 밝다.[21] 2시드 중에서는 FPX가 가장 강하고 다음이 젠지로 다전제에서의 실망스러운 성적과 별개로 단판제에서의 강력함은 여러 번 보여준 부분은 고려해야 한다. 프나틱 역시 8강 단골로 LCS의 1시드인 100이 오히려 가장 약하다고 보는 것이 중론.

  • 풀 3 - T1 - RNG - RGE - TL
3시드로 갔지만 서머 후반으로 갈수록 저력을 보여준 덕택에 3시드 이상의 경기력을 보이는 T1과 스프링과 MSI 우승팀인 RNG가 1, 2번 시드도 아닌 3번 시드로 내려오게 되면서 이 역시 FPX와 비슷하게 'T1, RNG 폭탄 피하기'로 변했다. 다른 시드 팀들은 추첨에 따라 각각 서머 준우승팀과 스프링 우승&MSI 우승팀을 상대하게 되고, 여기에 T1이 3시드로 들어올 경우 2시드 FPX도 같은 조에 들어가는 골치 아픈 일이 일어날 수 있다.[22] 다만 T1이나 RNG와 달리 LCS 2시드인 TL은 작년보다 약해졌다는 평이 중론이고, LEC 3시드인 로그는 다전제 동안 총체적 난국을 보여주어서 TL보다도 약하다는 평을 받고 있는 중이다.

  • 플레이-인 스테이지 풀 1 - HLE - LNG - C9 - BYG
작년에는 MAD의 광탈로 메이저 4시드가 다른 마이너 리그의 우승팀보다 전력이 확연히 세다고 볼 수 없다는 게 어느 정도 증명되었지만, 이번 플레이-인 풀1 4팀들은 모두 작년보다 쉽지 않은 상대라고 평가받는다. 쵸비-데프트 2명의 힘으로 선발전을 찢고 온 한화생명, 타잔이 건재한 LNG, PSG와 풀세트 끝에 플레이-인으로 밀려난 BYG, 북미 3시드지만 퍽즈라는 슈퍼 크랙이 있는 C9 모두 마이너 리그 팀들에게는 상당히 껄끄럽다고 볼 수 있다. 그래도 하위 시드라 그렇게 강력하지만은 않다는 점을 다른 플레이-인 스테이지 풀 2에 속해있는 마이너 리그 팀들이 어떻게 잘 공략해낼지가 관건이다.


3.3. 로스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로스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일정[편집]


진행 방식 안내
||




5. 대회 진행[편집]


[ 플레이-인 스테이지 결과 펼치기 · 접기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A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
LNG40전승
2
파일:Hanwhalogo_std.png
HLE31-
3
파일:PEACE_(Oceanic_Team)logo_square.png
PCE22-
4
파일:RED_Canids_logo.png
RED13-
5
파일:Infinity_2021.png
INF04전패
파랑색: 그룹 스테이지 직행 | 초록색: 플레이-인 녹아웃 2R 진출
연두색: 플레이-인 녹아웃 1R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플레이-인 그룹 스테이지 B조 순위표
순위비고
1DFM41TB-1st
2
파일:Cloud9 아이콘.svg
C932TB-1st
3GS22-
4
파일:Beyond_Gamingsymbol_square.png
BYG23TB-4th
5UOL14TB-4th
파랑색: 그룹 스테이지 직행 | 초록색: 플레이-인 녹아웃 2R 진출
연두색: 플레이-인 녹아웃 1R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플레이-인 녹아웃 스테이지 대진표
1라운드(10/8)2라운드(10/9)
HLE
A조 2위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1 3}}}
GS
B조 3위
파일:GS_Logo_2021_Worlds.png2
파일:Beyond_Gaminglogo.png0
BYG
B조 4위
파일:Beyond_Gaminglogo.png3
C9
B조 2위
파일:Cloud9 아이콘.svg3
PCE
A조 3위
파일:PCE_Logo_2021_Worlds.png3
파일:PCE_Logo_2021_Worlds.png0
RED
A조 4위
파일:RED_Logo_2021_Worlds.png2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파란색: 그룹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그룹 스테이지 결과 펼치기 · 접기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그룹 스테이지 A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DWG KIA 엠블럼.svg
DK60전승
2
파일:Cloud9 아이콘.svg
C9341R 전패, TB2
3
파일:Rogue 로고.svg
RGE35TB1 승, TB2
4
파일:FPX 로고 2021.svg
FPX252R 전패, TB1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그룹 스테이지 B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T1 LoL 로고.svg
T1512R 전승
2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EDG421R 전승
310033-
4DFM06전패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그룹 스테이지 C조 순위표
순위비고
1
파일:RNG 로고 2017.svg
RNG521R 전승, TB
2
파일:Hanwhalogo_std.png
HLE432R 전승, TB
3
파일:PSG Talon 아이콘(2020-2021).svg
PSG33-
4
파일:Fnatic 로고.svg
FNC151R 전패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그룹 스테이지 D조 순위표
순위비고
1GEN53TB1 승, TB3
2
파일:MAD_Lions_no_text.png
MAD44TB2 승, TB3
3
파일:Team Liquid 로고 2023 블루.svg
TL34TB1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
LNG34TB2
초록색: 녹아웃 스테이지 진출 | 빨간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8강 2경기 (10/23)
RNG
C조 1위
파일:RNG 로고 2017.svg2

4강 2경기 (10/31)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3
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2

FINALS (11/6)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3
파일:DWG KIA 엠블럼.svg2
||
8강 4경기 (10/25)
GEN
D조 1위
파일:Gen.G 로고.svg[[파일:Gen.G 로고 화이트 골드.svg3
C9
A조 2위
파일:Cloud9 아이콘.svg0
||
8강 1경기 (10/22)
T1
B조 1위
파일:T1 LoL 로고.svg3
HLE
C조 2위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0

4강 1경기 (10/30)
파일:T1 LoL 로고.svg2
파일:DWG KIA 엠블럼.svg3
||
8강 3경기 (10/24)
DK
A조 1위
파일:DWG KIA 엠블럼.svg3
MAD
D조 2위
파일:MAD_Lions_no_text.png0
||
연두색: 다음 라운드 진출 | 노란색: 월드 챔피언십 우승




6. 결과 및 총평[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결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글로벌 파트너[편집]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파일:버라이즌 로고.svg파일:Secretlab 로고.svg
마스터카드버라이즌시크릿 랩[23]
파일:스테이트팜 로고.svg파일:OPPO 로고.svg파일:레드불 로고.svg
스테이트팜[24]OPPO레드불
파일:AXE 로고.svg파일:게티이미지 로고.svg파일:Cisco 로고.svg
AXE[25]게티이미지[26]Cisco
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파일:BOSE 로고.svg파일:메르세데스-벤츠 로고.svg
SpotifyBOSE메르세데스-벤츠


8. 공식 영상[편집]



8.1. 오케스트라 테마곡[편집]


피아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이전 테마곡보다 템포를 낮췄다. 전반적으로 2019 시즌 테마와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일부에서는 테마곡의 텐션이나 분위기 등을 감안했을 때 오케스트라 테마곡의 원곡인 Summoner’s call의 느낌이 난다는 평도 가끔 있다. 사실 2019년 이후로 무려 3년 간 오케스트라 테마는 크게 바뀌질 않았지만, 2019년 이후로 공식 테마곡은 몰라도 오케스트라 테마곡은 매 시즌마다 호평을 받고 있기에 딱히 스타일을 크게 바꿔볼 필요도 없긴 하다.

LCK 유튜브 채널에 올라오는 하이라이트 영상 인트로나, 중계 오프닝/엔딩에서는 2019 시즌 테마를 쓰고 있는데, 빠른 템포의 중계 오프닝/엔딩 영상과 이번 시즌 테마곡이 어울리지 않아 2021 테마곡과 비슷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빠른 템포의 2019 테마를 쓰는 모양이다.


8.2. 공식 테마곡: Burn It All Down[편집]


Burn It All Down (ft. PVRIS)


9. 기념 스킨[편집]



9.1. 2021 월드 챔피언십 자르반 4세[편집]


파일:Jarvan_IV_Worlds2021Skin_HD.jpg
가격파일:롤아이콘-스킨-서사급.png
1350RP
(기간 한정)
동영상#

9.2. Edward Gaming 스킨[편집]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2021 시즌
파일:2022_EDG.jpg
그레이브즈
(Flandre)
비에고
(Jiejie)
조이
(Scout)
아펠리오스
(Viper)
유미
(Meiko)

10. 파워 랭킹[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파워 랭킹#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논란 및 사건 사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여담[편집]

















12.1. 제9회 다데상[편집]


공식 제9회 다데상 수상자: FPX Doinb

다데상 항목 참조.


12.2. 드롭[편집]


올해도 작년처럼 시청시 드롭이라는 시청보상을 뿌린다. 라이엇 공식 이스포츠 사이트에서 로그인 후 시청해야만 얻을 수 있다.

지급 상황은 무작위이며 확정적으로 지급된다고 명시된 상황은 스테이지 시작 직전과 펜타킬을 제외하곤 없다. 드롭 지급 상황을 명확하게 밝힌 작년과는 대비되는 부분.

보상으로는 2021 월즈 한정과 특정 일반 감정표현, E스포츠 관련 아이콘[33]들이 들어있는 캡슐을 준다. 작년 월즈의 드롭보상인 상자와 10주년 캡슐이 역대 월즈와 당해 우승/준우승 팀의 아이콘과 감정표현을 지급한 것에 비하면 초라한 보상.[34] 다만 절대적인 양이 많아 아이콘 중복의 경우 분해하면 많은 양의 주황 정수가 나오고, 감정 표현도 중복일 경우 새로운 감정 표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낮은 확률로 마법공학상자나 크로마가 나오기도 한다.


13. 둘러보기[편집]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LoL e스포츠
국제 대회
||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 LoL e스포츠 2021 시즌
국제 대회
파일:Mid-Season_Invitational_2021.png파일:Worlds2021.png
2021 MSI2021 Worlds
지역 대회
파일:LPL_2020.png파일:LCK 로고.svg파일:LEC.png파일:LCS_text.png
스프링 서머 선발전스프링 서머 선발전스프링 서머스프링 서머
파일:PCS Square.png파일:400px-VCS_logo_2018.png파일:LJL_2020_logo.png파일:LCO로고.png
스프링 서머스프링 윈터스프링 서머스플릿 1 스플릿 2
파일:TCL_Small_Logo.png파일:CBLOL_2021.png파일:LLA 2020.png파일:LCL2020_logo.png
윈터 서머스플릿 1 스플릿 2오프닝 클로징스프링 서머
기타 국제 대회
파일:ecea2021.jpg
2021 ECEA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7:12:19에 나무위키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변경 관련 내용 하단 참고.[2] 본래 24개 팀이었으나 작년에 이어 VCS가 불참함에 따라 2장을 소멸, 22개 팀이 되었다.[3] 글로벌 밴: 아크샨, 벡스[4] 코로나19 전염 방지를 위해 플레이-인 스테이지부터 결승전까지 단일 경기장에서만 진행. 2021 MSI는 B홀에서 열렸는데, 이번 월즈는 A홀에서 열린다.[5] 원래는 LCS처럼 LEC 3시드 팀도 플레이-인에서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작년에 이어 VCS 2팀이 불참하게 되면서 LEC 3시드도 그룹 스테이지에서 시작하게 되었다.[6] 2019 월즈 그룹 스테이지 탈락, 2020 월즈 그룹 스테이지 탈락, 2021 MSI 럼블 스테이지 탈락. 2019 MSI 이후 한 번도 국제 대회 토너먼트 진출을 하지 못했으며 2020 월즈에서는 TSM이 최초 1시드 전패라는 기록을 세웠다.[7] 2013~2014, 2016~2018, 2020~2021[8] 2014~2018, 2021[9] 2012, 2016을 제외한 모든 대회[10] 2011~2012, 2020을 제외한 모든 대회[11] 작년에 진출했던 TES, JDG, SN, LGD가 선발전도 못 가게 되면서 연속 출전 팀이 없어졌다. 2020 월드 챔피언십에도 2019년 참가팀인 FPX, RNG, IG가 모두 참여하지 못했었는데 2년 연속으로 기록이 이어졌다.[12] 2013, 2015~2016[13] 2019[14] 2011[15] LCK 10개 팀 중 월즈 출전 경력이 없는 팀은 농심과 샌드박스 2팀뿐이고, 이들은 전부 선발전에서 탈락했다. 한화생명e스포츠는 한화생명의 팀 인수 이후 현재의 팀으로 재창단한 이후론 첫 진출이지만, 2차례 월즈에 진출한 ROX Tigers의 역사를 계승하기에 첫 출전팀이 아니다. 참고로 한화생명은 17 WE, 20 LGD와 함께 5년이라는 최장 기간 공백기를 갖고 월즈에 컴백한 팀이다.[16] 2021 월드 챔피언십에 참여한 4대 리그의 유일한 첫 출전팀이다.[17] 애초에 다른 4대 리그와는 달리 LEC 참가팀 중에서 Excel Esports 한 팀만 있기에 첫 출전팀의 탄생 가능성이 상당히 희박하다. 다만 2022 시즌부터 샬케의 시드권 매각으로 LCK와 마찬가지로 월즈 미참가팀이 2팀이 된다.[18] 위의 LEC와 마찬가지로 LCS 역사상 월즈 진출이 단 한 번도 없는 팀은 Golden Guardians 한 팀뿐이다. Dignitas는 인수 이후 월즈 진출이 아직 없지만, 전신이었던 Clutch Gaming의 계보를 계승하기 때문에 월즈 진출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9] 참고로 VCS는 2021 서머 시즌 자체를 진행하지 못했고 바로 최근 대회인 2021 스프링 시즌의 우승은 기가 바이트 마린즈로 잘 알려진 GAM Esports가, 준우승은 퐁부 버팔로로 잘 알려진 Saigon Buffalo가 차지했다. 일정이 촉박해졌기 때문에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지만 만일 VCS 참가 불발이 번복될 경우 이 두 팀이 참가할 가능성이 높다.[20] 이는 시사하는 바가 의외로 크다. 만약 이번 월드 챔피언십에서 LCS보다 PCS가 더 좋은 성적을 거둔다면, 메이저 4대 리그는 메이저 5대 리그, 혹은 LCS 자리를 PCS가 대체하는 형태로 바뀔 여지가 충분하다.[21] 물론 이건 1시드 팀도 포함이다. 담원과 엮여도 두 팀이 상위 라운드에 올라갈 확률이 높지만 이러면 서로 간의 매치가 무지막지하게 부담되고 MAD나 PSG가 잡히면 그 조 한정으로는 사실상 1시드와 2시드의 위상이 뒤바뀐 것처럼 그룹 스테이지가 진행될 공산이 크다. 여기에 만에 하나 2시드 자리의 FPX도 고난인데 3시드 자리에 3시드 이상의 경기력으로 평가받는 T1이 들어온다면 2019 월드 챔피언십 C조에 버금가는 죽음의 조 확정이다. 그저 RNG는 같은 조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불행 중 다행으로 여겨야 할 따름.[22] 상술했듯이 이렇게 되면 1시드 자리에 MAD나 PSG가 올라오는데 이는 1시드들 입장에서 여간 까다로운 일이 아니다.[23] 싱가포르 게임 의자 제조 회사[24] 미국 보험 및 금융[25] 유니레버 소유의 남성용 바디케어 브랜드[26] 미국 이미지 회사[27] T1, 젠지, 담원은 각각 월즈 3, 2, 1회 우승팀이고 한화생명은 준우승 1회 및 4강 1회 팀이다.[28] 저 세 팀 중 IG는 루키더샤이가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며 두 선수의 역할이 큰 IG는 완전히 몰락했다는 평을 듣고 있으며, G2는 서머 시즌 캡스까지 폼이 크게 떨어지며 완전히 망해가던 중 캡스가 삭발과 함께 폼을 끌어올리고, 다른 팀원들이 버스에 탑승하며 정규 2위를 달성했다. 하지만 미드 이외의 다른 선수들의 폼이 회복된 것도 그랩즈 감독의 발밴픽이 나아진 것도 아니었고 포스트시즌에 프나틱에게 패배하며 시즌을 마치게 되었다. TSM의 경우는 비역슨이 감독으로 보직을 옮겨간 것을 시작으로 작년 월드 챔피언십에서 그나마 좋은 모습을 보여준 스피카를 제외한 모든 팀원을 새로 영입하며 우여곡절 끝에 결국 스프링-서머 합산 1위를 달성해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LCS 챔피언십에서 C9과의 단두대 매치에서 패배하며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했다.[29] 2017 월즈 그룹 스테이지 C조의 삼성은 당시 G2를 상대로 2번 모두 이겨서 G2를 그룹 스테이지에서 탈락시키고 우승했으며, 각각 2018 월즈 4강/2019 월즈 결승/2020 월즈 4강에서 G2를 쓰러뜨린 IG, FPX, 담원 역시 월즈를 우승했다. 참고로 G2 이전에는 프레이가 월즈 우승팀 메이커 역할을 했으나 2018 시즌 선발전에서 프레이를 꺾은 젠지는 2021 프나틱과 똑같이 그룹 스테이지에서 1학년 5반의 굴욕을 겪고 떨어졌다.[30] 시즌 2 프나틱, 시즌 3 TPA, 2014 시즌 SKT, 2015 시즌 삼성(전년도 우승 당시 삼성 화이트), 2020 시즌 FPX. 특히 삼성 화이트는 우승 이후 아예 팀이 와해되었다.[31] 2016 시즌 ~ 2017 시즌 SKT(2시드), 2018 시즌 Gen.G(전년도 우승 당시 삼성, 3시드), 2019 시즌 IG(3시드).[32] 영어 해설인 라이엇 공식 채널에서는 이미 LEC와 LCS 진행때도 진행하였지만, LCK 채널에서 진행한것은 이번이 최초이다.[33] 특정 리그 아이콘, 팀 아이콘, E스포츠 팬 아이콘 등.[34] 다만, 드롭의 지급량이 전년도에 비해 2~3배 이상이긴 했다. 다만 보상들이 영양가 없는 것들이라, 많이 주더라도 전년보다 훨씬 못하다는 평이 많다.

관련 문서